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상태변화감지
- 쓰레드
- 닉네임보이게하기
- typescript
- Toolkit
- redux
- lv.0
- react
- 에러
- 계층
- Firebase
- 뒤집기
- 9쪽이들
- 프로세스
- onAuthStateChanged
- router
- CS
- 심화프로젝트
- S.A
- 배열
- #kakaomap
- react-router-dom
- 자바스크립트
- LAN 과 WAN
- useref
- 비선형 자료구조
- 최종프로젝트
- 프로그래머스
- react-full-page
- DoM
Archives
- Today
- Total
행복한 딸기 🍓
[Compute Science] 컴퓨터 구조 / 파일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/useEffect의 실행 순서 본문
질문
컴퓨터 구조를 그려보자
답변
꼬리질문
보조 기억장치에 대해 설명해보자
답변
- 보조 기억장치는 컴퓨터 전원이 꺼져도 지워지지 않는 저장공간 입니다.
- 푸드트럭으로 비유하면 푸드트럭 하단 또는 외부에 위치한 창고공간 입니다.
-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반영구적으로 저장합니다.
- 전원을 끄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나 정보가 날아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입니다.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설치하는 모든 프로그램이나 파일들은 이곳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됩니다.
꼬리질문
보조 기억장치는 어떤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을까?
답변
파일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
- 파일 시스템
- 개별적인 파일들을 보관하고 정리하는 데 사용되는 큰 창고와 같습니다.
- 파일들은 여러 폴더에 저장되고, 사용자는 파일을 직접 관리해야 합니다.
- 이 비유에서는 사람들이 파일들을 개별적으로 처리하고 정리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.
- 데이터베이스
- 체계적으로 구성된 도서관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.
- 데이터베이스는 파일 시스템과는 다르게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연결시키는 기능을 제공합니다.
-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, 레코드, 필드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구성하고,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.
-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도서관리 시스템과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.
-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하면 데이터의 일관성, 무결성, 안전성을 유지하며 복잡한 데이터 조작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.
useEffect의 실행 순서
1.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, **useEffect**의 내용이 실행됩니다.
2. 내용 실행 후, 렌더링이 완료되면 의존성 배열을 검사합니다.
3. 의존성 배열에 변화가 있다면, **useEffect**의 내용이 다시 실행됩니다.
4. 이전 **useEffect**의 클린업 함수가 호출되며, 새로운 클린업 함수가 등록됩니다.
5. 새로운 렌더링이 일어날 때마다 위 단계들이 반복됩니다.
요약하자면, **useEffect**는 컴포넌트의 렌더링과 관련된 작업을 처리하며, 의존성 배열을 통해 언제 실행되고 다시 실행될지를 결정합니다. 클린업 함수는 이전 작업을 정리하는 데 사용됩니다.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ompute Science] 이진수 체계 / 유니코드 / Async/Await와 Promise (0) | 2023.08.30 |
---|---|
[Compute Science] DBMS / 트랜잭션 /var, let, const의 차이 (0) | 2023.08.29 |
[Computer Science] 쓰레드와 쓰레드 풀/ 프로세스 (0) | 2023.08.24 |
[Computer Science]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(0) | 2023.08.23 |
[Computer Science] 선점 스케쥴링과 비선점 스케쥴링의 개념 / 캐시히트와 캐시미스의 개념 (0) | 2023.08.22 |